보도자료
  • 2022년 12월 1일 | 2022 70mK 프로젝트 VR 전시: 차이와 공감
  • 2021년 6월 17일 | 2021 365, 성균인의 웃음
  • 2018년 9월 1일 | 서울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2018년 6월 2일 |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 2018년 6월 2일 | 미디어 아트로 표현된 7000만 한국인 의식지형도
  • 2018년 6월 2일 | `70mK`, 2015 하이서울페스티벌 전시
  • 2018년 6월 2일 | 70mK,‘7천만의 한국인들’인터뷰 영상전시
  • 2017년 3월 28일 | 2017 서울담화
  • 2015년 9월 27일 | 2015하이서울페스티벌
  • 2015년 6월 25일 | 2015’ 교육 인터뷰영상전시

70mK

MENU
  • 70mK 소개
    • 70mK 소개
    • 70mK 진행내용과 방법
    • 70mK의 확장성
    • 70mk 영상팀
  • 전시 아카이브
    • 2021 365, 성균인의 웃음
    • 2020 지금, 내가 사는 방법
    • 2019 Image of Korea, Image of Seoul
    •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 2018 서울,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2017서울담화(談話)
    • 2015 하이서울페스티벌
    • 2015 70mK, 교육을 이야기하다
    • 2014 7천만의 환경 운동가들
    • 2013 인천, 통일을 말하다
    • 2013 청소년기 통일의식
    • 2012 일과 여성
  • 함께하는 사람들
    • TMI
    • Good Planet Foundation
  • 알림사항
    • 알림사항
    • 보도자료
  • Rss Feed
  • Vimeo
  • Twitter
  • Facebook
  • Email me
  • 2023 제60회 수원화성문화제

    2023년 10월 7일 • 2015 70mK: 7천만의 한국인들, PORTFOLIO • 778

    제60회 수원화성문화제의 ‘THE GREAT WALL PROJECT’를 위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아카이빙 하였습니다.

    60번의 수원화성문화제
    2,700시간의 아카이빙 자료
    그리고, 782명의 수원시민 인터뷰

    Read More »
  • 2022 70mK 프로젝트 VR 전시: 차이와 공감

    2022년 12월 1일 • PORTFOLIO, 보도자료, 프로젝트 • 896

    1. 행사 주제

    이번 전시는 특별히 가상현실(VR) 플랫폼 기기‘오큘러스 퀘스트’를 사용함으로써 현실과 디지털의 경계를 허물고 아날로그 전시에 비해 보다 새로운 관람 경험을 제공합니다. VR기술의 활용을 통해서 몰입도를 높여 관람객이 더 주체적으로 관람에 참여할 수 있게 색다른 전시 체험의 창조를 추구합니다.

    전시 작품 제작은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주관하고, 성균관대학교 [융합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2. 행사 개요

    일시: 2022년 12일 6일, 화요일, 18:00-21:00
    장소: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 수선관 61413호

    Read More »
  • 2021 365, 성균인의 웃음

    2021년 6월 17일 • PORTFOLIO, 보도자료, 프로젝트 • 1568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2021년 6월 1일부터 삼성학술정보관 1층 Book Café 및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영관 1층 성균갤러리에서 변혁 교수(영상학과, 트랜스미디어연구소장)가 총괄 지휘하는 ‘70mK’ 프로젝트의 전시를 진행 했습니다.본 전시는 6월 1일 삼성학술정보관 상설 전시를 시작으로, 성균갤러리에서 6월 9일부터 6월 13일까지 진행 되었습니다.70mK는 70 million Koreans 즉, ‘7천만의 한국인들’을 뜻하는 줄임말로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남과 북 7천만의 한국인들의 의식 지형도를 그리는 대규모 영상 인터뷰 프로젝트입니다.이번 전시는 <365, 성균인의 웃음> 이라는 주제로 성균인 365명의 웃음과 인터뷰를 담은 프로젝트입니다. 장기화된 코로나19 상황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학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참여한 성균인으로 하여금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심리적 방역을 제공하고자 전시를 진행하였습니다.전시 작품 제작은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주관하고, 성균관대학교 링크사업단이 후원하는 [융합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제작 되었으며 총 24인의 학생들이 제작에 참여 했습니다.이어서, 6월 10일 오후 2시에 진행하였던 <70mK : 365, 성균인의 웃음> 오프닝 세레머니는 성균관대학교 신동렬 총장을 비롯하여 각 처 처장, 예술대학장, 영상학과 교수진과 함께, 우리은행 성균관대학교지점 이서진 지점장이 내외빈으로 자리하였으며, 성황리에 오프닝 세레모니를 끝마쳤습니다.본 전시는 6월 13일까지 진행 되었으며, 인터뷰는 총 5편(좋아하는 것, 좋아하는 사람, 하고 싶은 것, 행복했던 순간, 이루고 싶은 것)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Read More »
  • 서울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18년 9월 1일 • PORTFOLIO, 보도자료, 프로젝트 • 5226

    03.메인슬라이드-트랜스미디어연구소(수정)

    70mK 서울생각,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전(展)은 서울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영상 인터뷰 전시를 통해 서울시민들의 ‘서울에 대한 기억과 바램’ 을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70mK 서울생각,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전(展)은 ‘영상인터뷰와 서울 각 지역의 아카이브 사진들’로 이루어지며 세 개의 파트로 구성된다.‘어제’ 편에서는 서울 각 지역의 예전 이미지들과 함께 자신들이 나고 자랐던 동네에 대한 옛 기억을 다루고, ‘현재’ 편에서는 교육과 환경문제를 포함한 오늘을 사는 서울 생활의 이슈들을, 그리고 ‘내일’ 편에서는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우리의 생각과 자세를 다룬다.70mK 서울생각,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전(展)은 촬영된 영상인터뷰와 함께 관련지역의 과거, 현재의 이미지를 모자이크 방식의 모션 그래픽 작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지역기반의 실질적 정보의 구체성과 함께 ‘첨단 미디어아트의 예술적 감동’ 을 함께 전달한다. 2018년 9월 1일 – 2019년 1월 31일서울시청 B1 시민청 담벼락 미디어

    시민청 담벼락 미디어

    Read More »
  •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2018년 6월 2일 • PORTFOLIO, 교육, 보도자료, 프로젝트 • 4851

    [환경미디어= 김성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강원도(도지사 최문순),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와 함께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회를 맞이해 개막일인 3월 9일(금)부터 대회가 끝나는 18일(일)까지 개최지인 평창, 강릉을 중심으로 다채롭게 열리는 문화올림픽 프로그램들을 공개했다. 

       ▲ 파이어판타지_마법의 밤 공연                                             <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불꽃쇼・하프공연 등 신규 프로그램 눈길최첨단 미디어예술 기술을 활용한 영상 전시와 화려한 쇼가 패럴림픽 대회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린다.평창의 밤을 밝힐 불꽃쇼 ‘파이어판타지_마법의 밤’이 3월 9일(금)부터 18일(일)까지 페스티발파크 광장(강원도 대관령 송천 일원), 봉평장, 대화장, 진부장, 평창장 등에서 펼쳐진다. 대회 기간 내내 불과 불꽃, 조명이 어우러진 화려한 불꽃쇼와 대규모 불꽃 공연(2회)을 볼 수 있다.대규모 영상 프로젝트 ‘70엠케이(mK)-하나 된 한국(just simply KOREA)’도 눈길을 끈다. 3월 9일(금)부터 18일(일)까지 페스티벌파크 평창과 페스티벌파크 강릉에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여한 방문객들의 인터뷰 영상을 전시・상영하는 대규모 영상 인터뷰 프로젝트다. ‘70엠케이(70 million Koreans)’는 남과 북, 7천만 명의 한국인들을 의미하며, 하나 된 마음으로 만들어가는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대한 평화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 70mK-just simply KOREA                                                <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과 비장애인 작가들이 함께하는 프로그램도 마련돼 패럴림픽에 의미를 더한다.올림픽 기간 경포호를 장식했던 빛예술쇼(라이트아트쇼) ‘달빛호수’는 무대를 바꿔 오는 3월 9일(금)부터 18일(일)까지 강릉 남대천 월화교 특설무대에서 ‘달+달한 아트쇼’란 이름으로 새롭게 진행된다. 화가, 사진가, 무용가, 서예가, 국악인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인들이 강릉과 평창 일원의 사계를 담은 영상물을 활용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만들어가는 평화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할 예정이다.다양성 빛난 문화올림픽, 패럴림픽에 한 번 더!올림픽 기간 동안 개최지(베뉴) 내에서 선보인 대부분의 문화행사와 공연 등이 패럴림픽 기간에도 그대로 이어진다.문화정보통신기술(ICT)관에서는 백남준의 ‘거북(Turtle, 1993년, 166개 TV모니터)’, 이중섭의 ‘부부(1953년)’, 장욱진의 ‘까치(1958년)’ 등의 보석 같은 작품을 패럴림픽 기간에도 무료로 만날 수 있다. 올림픽 기간 동안 진행된 임시완, 옥택연 등 연예인 병사의 전시 해설(도슨트)도 계속된다. 바로 옆 전통문화관에서는 3월 10일(토)과 11일(일), 다례 체험을 진행한다.강릉 올림픽파크 내 라이브사이트에서는 오는 3월 10일(토)과 17일(토) 비와이, 비원에이포(B1A4) 등이 참여하는 유명 케이팝 공연이 예정돼 있다. 인근 강릉아트센터에서는 패럴림픽 기간에도 매일 최대 3회 공연이 열린다. 3월 11일(일)에는 스페셜올림픽코리아 에코&하모니, 13일(화)에는 하트하트 오케스트라, 17일(토)에는 ‘드림콘서트 더 힐링’ 등 장애·비장애인이 함께 만드는 무대를 선보인다. 일부 공연에서는 시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화면 해설과 한글 자막을 제공하는 무장벽(배리어프리) 서비스를 운영한다.개·폐회식장이 있는 평창 올림픽플라자와 강릉 올림픽파크에 설치돼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던 문주&랄프샌더(평창)와 이용백(강릉)의 설치 작품들은 패럴림픽이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전시된다.

     ▲ 패럴림픽 파이어 아트페스타 2018                                       <사진제공=문화체육관광부>

    올림픽 개최지(베뉴) 밖에서 올림픽 붐업을 이끌었던 문화올림픽 프로그램들도 패럴림픽과 함께한다. 국내외 유명작가들이 참여해 강릉 경포 해변에서 설치작품을 선보이는 ‘패럴림픽 파이어 아트페스타 2018’이 3월 9일(금)부터 18일(일)까지 수준 높은 작품들을 선보인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대상 맞춤형 전시 해설(도슨트)도 진행된다.자연 자체를 전시장으로 삼아 화려한 조명예술의 정수를 보여준 ‘청산☆곡’은 강릉 솔향수목원에서 계속되며, 평화의 의미를 살린 ’디엠지(DMZ) 아트페스타 2018 평화:바람’과 문화올림픽 히트상품으로 거듭난 ‘강원국제비엔날레’도 열린다. 평창・강릉 올림픽 페스티벌파크에서 진행되는 공연 릴레이 ‘아트 온 스테이지’도 패럴림픽 기간에 계속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올림픽 기간 동안 강원도 곳곳에서 열린 문화올림픽이 다양성을 보여주며 국내외 관람객들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을 이끈 문화올림픽의 열기가 동계 패럴림픽 기간에도 계속 이어지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Read More »
  • 미디어 아트로 표현된 7000만 한국인 의식지형도

    2018년 6월 2일 • 교육, 보도자료, 프로젝트 • 4705

    P1050604환경,여성,교육 그리고 통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국인의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평창문화올림픽 프로그램으로 마련된 전시 ‘70mK(70 million Koreans)’가 오는 9일부터 25일까지 페스티벌파크 평창과 강릉에서 각각 진행된다.오는 11~24일에는 강릉원주대 해람문화관에서도 전시된다.영화 ‘인터뷰’ ‘주홍글씨’를 연출한 변혁 성균관대 영상학과 교수가 총감독을 맡은 이번 전시는 지난 2011년 시작된 프로젝트다.통일을 비롯해 여성,환경,교육 등의 주제에 대한 7000만 한국인의 목소리를 담아 한반도의 의식지형도를 그려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번 전시는 평화와 화합의 상징인 올림픽을 맞아 세계 유일 분단국인 한국인의 다양한 목소리를 미디어아트로 재탄생시켜 초대형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보인다.전시 관계자는 “시민의 표정과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긴 영상을 관람하며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나아가 관람객 스스로가 통일과 환경,여성,교육 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전시는 내달 9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패럴림픽 기간에도 페스티벌파크 평창과 강릉에서 진행된다.최유란 cyr@kado.net

    Read More »
  • `70mK`, 2015 하이서울페스티벌 전시

    2018년 6월 2일 • 교육, 보도자료, 프로젝트 • 3514

    2– 성대 트랜스미디어硏 1~3일까지 시청 앞 서울광장서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 영상학과 변혁 교수가 총괄 지휘하는 ’70mK(7천만의 한국인들)’ 프로젝트가 2015 하이서울 페스티벌에 초청돼 서울광장에서 상영되고 있다 / 성균관대 제공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는 영상학과 변혁 교수가 총괄 지휘하는 ’70mK(7천만의 한국인들)’ 프로젝트가 서울광장에서 1일부터 상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성대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2012년부터 진행해 온 ’70mK’는 70 million Koreans 즉, ‘7천만의 한국인들’을 뜻하는 줄임말로 남과 북, 7000만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영상인터뷰 프로젝트다.올해는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70mK, 서울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서울에 대한 기억’을 주제로 제작됐고, 하이서울 페스티벌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시청 앞 서울광장 특설 스크린에서 상영되고 있다.<디지털타임스>

    Read More »
  • 70mK,‘7천만의 한국인들’인터뷰 영상전시

    2018년 6월 2일 • 교육, 보도자료, 프로젝트 • 3653

    KakaoTalk_Photo_2018-06-01-17-29-16서울특별시와 서울문화재단이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역, 세종대로 등 서울시내 주요 장소에서 거리예술축제 ‘하이서울페스티벌 2015’를 개최, 1일 서울 시민청에 ’70mk, 서울을 말하다’ 인터뷰 영상이 전시되고 있다. <70mK>는 70 million Koreans, ‘7천만의 한국인들’을 뜻하는 줄임말로 남과 북 7천만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진행하는 대규모 영상인터뷰 프로젝트다. ‘7천만의 한국인들’의 인터뷰를 통해 한반도 의식 지형도를 그려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고 트랜스미디어연구소측은 밝혔다.swimer@yna.co.kr

    Read More »
  • 2017 서울담화

    2017년 3월 28일 • PORTFOLIO, 보도자료, 프로젝트 • 3380

    2017city2

     

    ’70mK, 서울담화(談話)’, 서울에 대한 서울 시민의 이야기를 영상에 담아냅니다.교육, 환경, 여성 등 서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주제로 ‘시민친화적인 콘텐츠’를 만들고, 전시현장 인터뷰를 통해 전시 영상을 보고 난 시민들의 생각을 다시 편집, 전시합니다.인터뷰의 진행 및 촬영 전반에 걸쳐 일반시민들이 직접 만들고,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자신이 참여(출연)한 영상이 상설 전시됨에 따라 방문, 재방문의 기회를 통해 시민청을 보다 ‘시민친화적 공간’으로 만드는 전시입니다.2017년 4월 6일 – 2018년 2월 28일까지서울시청 B1 시민청 담벼락 미디어
    시민청 담벼락 미디어  

    Read More »
  • 2015하이서울페스티벌

    2015년 9월 27일 • PORTFOLIO, 보도자료, 프로젝트 • 2559

     

     스크린샷 2018-09-27 오후 6.07.47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 영상학과 변혁 교수가 총괄 지휘하는 <70mK, 7천만의 한국인들> 프로젝트가 2015‘ 하이서울 페스티벌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서울광장에서 상영되었다.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2012년부터 진행해 온 <70mK>는 70 million Koreans 즉, ‘7천만의 한국인들’을 뜻하는 줄임말로 남과 북, 7천만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영상인터뷰 프로젝트이다.올해는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70mK, 서울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서울에 대한 기억’을 주제로 제작되었고, 하이서울 페스티벌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어 시청 앞 서울광장 특설 스크린에서 상영되었다.[ 행사안내]일정 :  2015년 10월 1일(목) ~ 10월 3일(토) 저녁 9시장소 :  서울광장일정 : 2015년 10월 1일(목) ~ 10월 4일(일) 오전10시~저녁9시장소 : 시민청 (서울시청 지하1층)
     
    2
     

    Read More »
1 2 3 … 8 »

프로젝트

최신 보도자료

  • 2022년 12월 1일 • 896

    2022 70mK 프로젝트 VR 전시: 차이와 공감

  • 2021년 6월 17일 • 1568

    2021 365, 성균인의 웃음

  • 2018년 9월 1일 • 5226

    서울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알림사항

  • 2015년 7월 10일 • 2727

    ‘2015’ 하이서울페스티벌, 70mK 서울을 말하다

  • 2013년 10월 15일 • 2975

    새로운 70mk 사이트가 작업중입니다.

70mK : 7천만의 한국인들 프로젝트는

70 million Koreans 즉, ‘7천만의 한국인들’을 뜻하는 줄임말로 남과 북, 7천만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트랜스미디어연구소가 진행하는 대규모 인터뷰 프로젝트입니다. 70mK는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작업으로서 ‘7천만의 한국인들’의 인터뷰를 통해 한반도 의식 지형도를 그려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트위터 소식(@70mk_)

  • Sorry, but there was a problem connecting to the API.

최신 업로드

  • 2023 제60회 수원화성문화제
  • 2022 70mK 프로젝트 VR 전시: 차이와 공감
  • 2021 365, 성균인의 웃음
  • 서울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 미디어 아트로 표현된 7000만 한국인 의식지형도

문의안내

메일

 70mk@70mk.com

전화

 02-760-0669

주소

 서울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수선관 61405호 (110-745)

 

Copyright © 2013 70mK™ All Rights Reserved.